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상단 메인메뉴

전체메뉴
로그인
전체메뉴 보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모바일메뉴 보기
전체메뉴

게시판

사이드 메뉴

공지&뉴스

  • 게시판
  • 공지&뉴스

예산·순창…청년인구 늘린 지자체 시책 살펴보니

  • 시스템관리자
  • 2024-06-05
  • 조회수 : 23
예산, 정착 도와 전입신고 유도 
순창, 대학생 생활지원 등 주효 
20~30대 이탈 가속화 우려속 
지역 특성별 정책 정교화 비결
2면_아이클릭아트
아이클릭아트

인구감소지역의 청년인구가 빠르게 이탈하고 있다. 청년인구 유출이 지역 쇠퇴를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 가운데 청년인구 증가라는 반전에 성공한 인구감소지역이 있어 눈길을 끈다. 인구·지리적 특성을 토대로 정책을 정교화한 것이 비결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인구감소지역 활성화의 선결 과제로 청년인구 확보를 꼽지만, 청년은 썰물처럼 빠져나가고 있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인구감소지역의 만 20∼34세 청년인구 비중은 2020년 기준 13.3%로, 2010년(17.0%)보다 3.7%포인트 감소했지만, 만 65세 이상 노년층 비중은 21.3%에서 28.5%로 7.2%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국의 청년 비중은 21.4%에서 19.1%로 2.3%포인트 줄었고, 노년층은 10.6%에서 15.7%로 5.1%포인트 늘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국내 인구이동의 변동 양상과 정책적 함의’에 따르면 인구감소지역 가운데 청년인구만 유출된 지역은 2020년 기준 13곳으로, 유소년·중장년과 견줘 현저히 많았다.

보사연은 인구감소지역의 인구는 여성, 고학력, 고숙련 직종, 중산층을 중심으로 줄었다고 분석했다. 이상림 보사연 연구위원은 “지역의 인재 유출, 경기 침체 등 총체적·구조적 쇠퇴를 초래할 수 있다”고 했다.

인구감소지역에 40∼60대 중년층이 자리 잡는 긍정적 변화도 있었지만, 청년인구의 빈자리가 이를 압도했다. 중년층이 인구감소지역으로 이주한 배경에는 연고지로 귀환한 이동이 자리한 것으로 보인다. 인구감소지역으로 이동한 중년층의 출생지를 살펴보면 해당 지역에서 태어난 경우가 남성 기준 40%에 육박했다. 이 연구위원은 “(중년층 유입은) 청년과는 상반된 경향”이라며 “다만 유출된 청년이 중장년의 유입 규모보다 훨씬 더 크다는 점에서 (지역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인구감소지역 가운데 인구·지리적 특성을 토대로 청년층의 정착을 이끈 사례도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89곳의 인구소멸지역 가운데 9곳은 인구가 늘었다. 대표적으로 충남 예산의 인구는 2023년 기준 전년과 견줘 969명 증가했다. 늘어난 20∼30대 인구가 배경에 있다. 행안부에 따르면 예산의 20세 이상 39세 이하 인구는 지난해말 기준 1만2194명으로 2022년 12월(1만2084명)보다 110명 증가했다. 예산군은 지역에 거주하지만, 전입신고를 하지 않은 인구에 집중해 정책을 추진했다. 고등학교·대학교·기업 등을 대상으로 실거주 미전입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숨은 인구 찾기 상생 작용 시책’을 펼쳤다. 전담 부서가 직접 기관을 방문해 기숙사비·생활용품비·정착지원금 등의 지원을 안내했다.

전북 순창군은 농촌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도시민의 귀농 수요와 연결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순창지역의 20~39세 인구는 2022년말 기준 3540명에서 지난해말 3609명으로 증가했다. 특히 순창은 아동행복수당, 대학생 생활지원금 등 복지정책 확대에 더해 농촌유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올해만 41명의 유학생이 순창에 모였다. 농촌유학 가족체류형 시설 조성을 추진하며 정주인구 확보도 꾀하고 있다.

김소진 기자

  • 김소진 기자
top